영어공부/영문법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분사 - 현재분사 - 현재분사 (진행형) 분사는 동사를 살짝 바꿔서 형용사로 사용. 동사 + ing listen 듣다 -> listening 듣는 (진행하고 있는, 능동의 의미로 바뀐다) I'm listening to music. 나는 음악을 듣고 있다. be + 형용사 -> 형용사인 상태(be동사)이다. ※ 상태동사, 동작동사 상태동사 ex) be, love, like ... 동작동사 ex) study, work ... 상태동사는 현재진행형으로 보통 쓰지않는다. I'm liking dogs -> 이런 문장은 보통 쓰지 않음. 동작은 어떤 찰나의 순간에 대한 동작을 얘기하지만, 상태는 아님. 노래나 시적 허용처럼 특정한 문장에서는 쓰기도 한다. (I'm still loving you. 아직도 너를 사랑하고 있어.) -> .. 시제 - 현재, 과거, 미래 - 현재 시제 I eat breakfast every day. 나는 매일 아침을 먹는다.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에 s, -es 붙인다. 보통 단어의 발음이 s로 끝일 때 es를 붙임 (pass -> passes, fix -> fixes) ※ 현재시제의 시간대 현재시제라고 해서 딱 현재 그 시점만 표현하는 게 아님. (그럴 땐 현재 진행형을 사용) 현재는 약간 과거와 미래를 포함하는 시간대를 나타낼 수 있다. I am a boy라고 했을 때, 딱 지금 이 순간을 나타내는 게 아니다. 예전부터 현재까지 또는 미래까지도 계속 a boy이다. tomorrow is monday. 내일은 월요일이다. 내일을 얘기하는데 현재시제의 is를 사용. 현재시제는 뭔가 확정적이고 계속 유지되는 그런 느낌. (불변) ※ 참고.. 문장의 형식 - 문장의 형식을 공부하는 이유 사람의 성격 유형을 나눠서 그 사람을 좀 더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것과 같은 맥락. 문장의 형식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주객이 전도되지 말자, 달달 외울필요 없음) - 1형식 (주어 + 동사) I agree. 나는 동의한다. (완전한 문장) he became. 그는 됐다. (불완전한 문장) 뒤에 부사나 부사구 (부수적인 설명)가 붙을 수도 있다. 많은 문장들이 주어 동사만 갖고 있지 않다. He ran again. 그는 다시 달렸다. The accident happened at night. 그 사건은 밤에 일어났다. Columbus arrived in the NewWorld. 콜럼버스는 신세계에 도착했다. - 대표적 1형식 동사 - 2형식 (주어 + 동사 + 보.. 문법 공부 시작 -문법 없이 공부할 수 있는가? 문법없이 언어를 익히기는 힘들다. 영어에 24시간 노출되어있고 누군가 옆에서 계속 가르쳐 줄 사람이 있으면 문법을 배울 필요가 없다. 야구의 규칙을 모르고 야구경기만 보고서 규칙을 완전히 깨우치기는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 영어의 규칙에 해당하는 문법을 배우면 바로 독해하고 작문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문법은 필수다. - 5개 국어를 하는 사람의 특징 문법 공부를 하면서 그 문장을 따라 말하고 쓰고 듣고 작문하는 과정을 거쳐서 5개국어를 하게된 사람이 있음. 언어의 원리인 문법을 계속 염두해 두면서 따라 말하고 쓰면 머리에 일종의 문장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생김. -한국인 서양인의 인식 차이 헤엄치는 물고기 그림을 보고 동양인은 물고기가 아닌 물고기가 헤엄치는 배경을 설명하고.. 이전 1 다음